맨위로가기

소릉 (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릉은 당나라의 능묘로,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산시성 셴양시 례천현에 위치하며, 당나라 18릉 중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염립덕과 염립본 형제가 설계했으며, 정관 10년(636년) 장손황후의 능묘로 조성되어 당 태종이 묻혔다. 능 앞에는 200여 개의 배장묘가 있으며, 당 태종이 아꼈던 명마를 조각한 "소릉 육준"이 유명하다. 오대십국 시대에 도굴되었으며, 현재는 지상에서 현무문의 일부와 석비의 일부만 볼 수 있다. 1979년 소릉 박물관이 건립되었고,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황릉 - 청서릉
    청서릉은 중국 허베이성 이현에 있는 청나라 황족 능묘군으로, 옹정제부터 광서제까지 네 황제와 황후, 후궁들이 안장되어 있으며,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 보호받고 있다.
  • 중국의 황릉 - 청동릉
    청동릉은 허베이성 쭌화시에 위치한 청나라 황실 능묘군으로, 순치제의 효릉을 시작으로 역대 황제, 황후, 비빈들의 능묘가 조성되어 있으며 건륭제의 유릉과 서태후의 정동릉은 화려한 장식으로 유명하고 동릉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 중국의 유적 - 광개토대왕릉비
    광개토대왕릉비는 414년에 고구려 장수왕이 아버지 광개토대왕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으로, 고구려 역사와 광개토대왕의 업적을 기록하여 고구려사 연구에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는다.
  • 중국의 유적 - 저우커우뎬
    저우커우뎬은 베이징 교외의 고고학 유적으로, 베이징 원인 화석과 석기, 불 사용 증거 등 인류 진화 연구에 중요한 유물을 제공하여 1987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소릉 (당)
일반 정보
이름소릉
로마자 표기Zhaoling
위치중국 산시성 리취안 현 동북쪽 15km의 주산
좌표북위 34° 34′ 30″, 동경 108° 34′ 48″
역사
건설 시작636년
완공649년
주요 인물당 태종
함께 묻힌 사람장손황후와 다른 고위 관리 및 귀족 167명
보호 현황
지정1961년 국무원에 의해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로 지정
2018년 중국 국가문물국에 의해 국가유적고고학공원으로 지정
특징
유형능묘
면적200km² 이상
설명당나라 제2대 황제 당 태종과 그의 아내 장손황후의 무덤 단지
소릉 위치
소릉 위치
소릉
소릉

2. 위치 및 구조

소릉은 옛 당나라 수도인 장안(시안시)의 서북쪽에 있으며, 현재 행정 구역상으로는 산시성 셴양시 리취안현 북동쪽 25km에 있는 구종산(九嵕山) 기슭에 있다. 염립덕·염립본 형제가 설계를 맡았으며, 정관 10년(636년) 장손황후의 능묘로 조영이 시작되어 태종 자신도 그곳에 묻혔다. 당나라 시대의 다른 능묘와 마찬가지로, 봉분을 조성하지 않고 산릉을 이용하여 현실(玄室)을 축조했는데, 이는 태종이 백성들의 노고를 덜어주기 위해 의도한 것이라고 전해진다.

3. 역사

소릉은 정관 10년(636년) 장손황후의 능묘로 조영이 시작되었으며, 태종도 함께 묻혔다. 당나라 시대의 다른 능묘와 마찬가지로 봉분을 조성하지 않고 산릉을 이용하여 현실(玄室)을 축조했는데, 이는 태종이 백성들의 노고를 덜어주기 위해 의도한 것이라고 전해진다.

오대십국 시대 후량의 군인 온도에 의해 도굴되어 합장되어 있던 많은 명품들이 밖으로 옮겨졌다. 『남당서』 정원소전에는 원소가 소릉을 도굴하려다 안에 들어갔을 때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어, 소릉 내부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4. 배장묘

소릉 앞 난총평에는 초당 시대 종실 제왕, 공주, 위징, 이정, 이적, 방현령 등 공신들의 배장묘 200여 개가 있다. 왕희지의 『난정서』도 태종과 함께 묻혔다고 전해진다. 배장묘에는 벽화가 남아있는 것도 있다.

5. 소릉 육준

소릉 육준은 태종이 수말 당초의 전란 시기에 타고 다니던 여섯 필의 명마를 돌에 새긴 부조상이다. "'''백제오'''", "'''권모황'''", "'''삽로자'''", "'''특근표'''", "'''청추'''", "'''십벌적'''"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각 말의 이름과 기마 시기는 다음과 같다.

이름기마 시기
백제오설인고와 싸울 때
권모황유흑달과 싸울 때 ("권모"와 "권우마"의 고대 튀르크어 발음이 같음)
삽로자왕세충과 싸울 때 ("삽로"와 "사발략"의 고대 튀르크어 발음이 같음)
특근표송금강과 싸울 때
청추두건덕과 싸울 때 ("청"과 "진"의 고대 튀르크어 발음이 같음)
십벌적왕세충, 두건덕과 싸울 때 ("십벌"과 "설발"의 고대 튀르크어 발음이 같음)



이 중 '''삽로자'''와 '''권모황''' 2준은 미국 필라델피아에 있고, 나머지 넷은 서안 비림에 소장되어 있다. 모든 돌에 금이 간 것은 분할하여 운반했기 때문이라고 전해진다.

6. 석비

구양순의 온언박비와 저수량방현령비 등이 전해지고 있다.

7. 소릉 박물관

1979년 소릉 박물관이 건립되었으며, 소릉은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어 있다.

8. 평가

소릉은 당나라 황제릉의 대표적인 예시로, 그 규모와 역사적 중요성으로 인해 높이 평가받는다. 특히 당 태종이 타던 말을 돌에 부조한 소릉 육준은 당나라 초기 군사 문화와 돌궐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소릉 육준은 "백제오", "권모황", "삽로자", "특근표", "청추", "십벌적"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중 "권모황", "삽로자", "청추", "십벌적"은 고대 튀르크어 발음과 관련이 있어, 당나라와 돌궐 간의 관계를 짐작하게 한다.

참조

[1] 문서 Loehr, 33
[2] 문서 Loehr, 33
[3] 문서 "「𩢍」는 마(馬)편에 과(瓜)를 부수로 하는 글자이다. 「骒」로 표기되기도 한다."
[4] 서적 중국을 빚어낸 여섯 도읍지 이야기 메디치미디어 2018
[5] 논문 당태종 소릉을 통해서 본 당제국의 다문화사회 고려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